일상을 새롭게 3 Renew Posewin 20171114
맨손으로 불을 잡으면 어떻게 되지...?
경험이 있는 사람은 그런 행동을 멈출 것입니다.
이것은 피할 수 없은 물리법칙이지만 이런 일들이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다면...
일부 사람들의 이해할 수 없는 가상화폐 비트 코인
투기를 보면서 여러 가지 생각을 해 보게 됩니다...
흔히 말해서 금도 아니고... 국가에서 인정하는 것도
아니고...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자연수의 세계에서 암호화 처리가 가능한 수의 조합이
2100만개라는 희소성을 주장하며 일어 나는 투기 현장...
안을 들여다 보면 결국은 인간 뇌의 생리적 취약성으로
가능한 일 임을 알게 됩니다.
도파민을 쥐어 짜내려는 무의식적 행동이 투기적 상태와
신비적 상태를 필요로 하는 것이지 그것이 향하려는 대상
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도파민 반응에 취약한 사람들이 도박이나 환상과 허위에
빠지기 쉬운데 이들은 평범한 것으로 만족을 못하며 뭔가
남들과 다르게 지금 현실에서 벗어날 가상의 신세계를 원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지 않은 특별한 물건이나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확신 속에 중뇌 보상 회로의 쾌락중추
버튼이 눌러지는 원리... 하지만 오래 지속되지 못합니다.
머리로는 잘못된 것을 알지만 그만 두지 못하는 것은 뇌가
스스로 자신을 성공했다고 속이는 유사 성공의 함정을 만들
기 때문입니다.
노력이란 부분과 완전히 다른 영역에 있으면서 자의적인
해석에 의해서 스스로 쾌락 중추를 눌러서 그만두지 못하고
성공으로 오인하는 괴상한 뇌 생리적 매커니즘의 발견이 유사
성공입니다.
뇌가 스스로 성공했다고 호르몬 버튼을 눌러 주기 때문에 집착
보다 심각한 상태가 유사성공 입니다.
어떤 스토커가 타인을 무한히 괴롭힌다고 여기면서 스스로
고갈되고 소진 되고 있지만 타인이 고통을 받을 것이라 상상을
하면 자기 뇌에서 보상 중추 버튼이 눌러 지고 쾌락을 느끼는 것이
유사 성공의 사례입니다.
우리 주변에 생각보다 싸이코적 기질을 가진 자들이 많으나 왜
지속적인 실패에도 불구하고 반복된 행동이 가능할까...?
단서는 스스로 쾌락 버튼을 누르고 성공했다고 자위하는 상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정상적인 경우라면 현실의 실패를 인정하고 새로운 길을 찾아야
하지만 이들의 뇌는 최소한 호르몬 시스템으로 성공했다고 자축
하고 있다니 인체의 신비입니다...
예로부터 멈춤이 지혜가 될 수 있다는 가르침을 다시 생각해야
합니다...
뇌가 실패를 성공으로 속이고 호르몬을 방출하여 스스로 피폐해
짐을 쾌락의 도구로 역 이용하고 있다면 이것은 자신을 먹이로
먹고 있다고 할 것입니다.
'공명하는 포즈윈 > 포즈윈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 수습력 (0) | 2017.12.19 |
---|---|
인식력 개선과 의식 (0) | 2017.11.16 |
나에 대한 확신 (0) | 2017.11.13 |
삶의 진지함...기대와 마음 (0) | 2017.11.10 |
양자힘 가져오기 (0) | 2017.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