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을 새롭게 3 Renew Posewin 20171211
토요일 늦은 저녁 문자가 옵니다.
" 선생님 저 내일 수련 참여 하려구요..."
결혼 후 집이 멀어져 수련이 어렵겠다고 생각했지만
마음은 늘 함께 했던 사람입니다.
주변에 좋은 영향을 주고 자신도 열심히 하는 것을
보면 보람이 큽니다.
일요일...!
2017년 한해를 마무리 하는 시점에 많은 회원들이 참석
해서 좋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공부가 오늘 분위기를 미리 알아 본 듯 오늘 우리들에게
적절한 내용이었는데 ...
아들이 어머니 품에 기대 듯이 의지하고 다른 사람으로
인하여 우정이 깨지지 않는 사람이 친구이다...
기분 좋은 것만 함께 행하고 비위를 마추느라 여념이
없는 사이는 친구가 아니다...
지혜로운 사람들을 가까이 하며 때 맞추어 지혜를
공부하는 것... 이것이 행복이다...
요점을 정리 하면 친구와 행복에 관련된 이야기인데
과학적 발견 부분으로 개인의 사귐 성향이 사람의
뇌 구조를 급속히 재편성 시키고 있다는 신경 생물학
의 새로운 발견을 주목해야 겠습니다.
뇌 과학의 발견은 사귐의 대상에 따라서 중간 전두엽의
급격한 변화를 보고 하고 있습니다.
감정의 균형력, 타인과 의사 소통력, 공포 감소, 통찰력,
공감력, 도덕성, 직관력 등이 감소하면 신체적 변화로써
자율 신경계의 혼란과 행복 호르몬 시스템의 오류 등으로
이어지고 정신과 몸의 문제 등이 발생합니다.
뇌에 물리적 무엇을 한다기 보다는 관계 설정을 어떻게
두고 있는가 만으로 뇌 구조가 급격하게 변화 한다는 것.
여기에는 참 중요한 사실들이 포함 되는데 개인이 내부적
으로 설정하는 친구란 정의에 따라서 뇌 사용의 방식도
급속한 구조적 변화를 격는다는 발견...
중간 전두엽 분야로 간단히 정리하면 미세한 부분을 다루는
관계에서 벗어난 거친 차원의 상호작용 만으로 뇌는 이전의
미세한 분야의 신경 세포를 스스로 차단하고 거친 영역으로
급격히 자신의 신경 연결의 구조를 변경 시킨다...
이제부터 즐거움이나 자극의 대상 또한 자극된 신경세포에
알맞게 급속히 변질되고 있지만 자신은 그것을 인식을 하지
못합니다.
무엇을 향해서 어떤 개인적 취향이나 기호가 변화되는 것은
각자의 과제 이지만 어제 새롭게 배웠던 지혜와 과학의 결과에
의하면 크게 경계해야 할 부분을 발견한 것입니다.
달력을 보니 12월 두 번째 수련이 지났습니다.
2017년 일요 수련이 두번 남짓 남은 것 같습니다.
함께 열심히 함께한 덕분에 큰 어려움 없이 수련하고 공부
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