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을 새롭게 3 Renew Posewin 20170711
리더란 앞서 먼저 경험한 사람입니다.
리더는 공간 사용이 자유로운 사람입
니다.
리더가 될 수 없는 사람은 공간에 몰입
된 사람이거나 자신의 공간을 남에게
위탁한 사람입니다.
지금 포즈윈 공간 이론을 설명할텐데 그
영역과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력과 범위는
실로 엄청납니다.
공간에 몰입 된다는 것은 부수적 요인
으로 공간과 연계된 조건들에 의해서
감각과 흥분이 의식을 가리는 상태로
접어든 상태입니다.
이런 방식의 오류가 일어나면 공간은
부분으로 쪼개져 전체를 파편으로 인식하는
실패를 부릅니다.
전체를 파편으로 인식하면 인간의 영적
발달과 의식적 흐름에 심각한 문제가 발
생합니다.
사업적 판단의 실패와 성공, 기타 인간이
타인을 만남으로 결정하는 거의 모든 일이
공간 열기의 과정속에서 갈리고 있습니다.
포즈윈 수련은 공간과 정보를 다루며
치유적 관점과 인식의 관점이라는 큰
흐름을 기준으로 나누어 연구됩니다.
일상에서 공간수련을 심화하면 특정한
상황속에서 공간의 축소로 발생하는 몰입
이 가져다 주는 실패를 차단해 줍니다.
(칙센트 미하이의 몰입론과 다름을 참고)
가끔 길을 가다 보면 친하지 않지만 익숙한
분들을 만나게 됩니다.
도를 아십니까...!
복이 많습니다...!
우리는 한번 쯤 전국에 수 천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같은 멘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경계해야 합니다.
멘트의 전제는 나는 도를 이미 알고 있는데
너에게 가르쳐 줄 수 있다...?
나는 이미 복을 받았는데 그 복을 나누어
주려 나왔는데 마침 네가 운좋게도 여기에
있구나 입니다...
결국 무의식적 공간이 자기들이 상위자이고
우리는 하위자란 설정이 있는 겁니다.
공간수련을 하면 안보이는 것이 드러나고 숨겨진
본질들이 읽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각은 속여도 몸은 속이지 못하는게 생리적인
사실인데 신이 인간에게 길을 잃었을때 남겨둔
최후의 수호천사와 같습니다.
우리가 잘못된 길을 가거나 타인에게 지배되고
속임을 당했는데 스스로 전혀 인식이 안되면
문제가 커집니다.
이것은 공간이 결박된 상태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양심이란 마음 깊은 곳에서 특정한 신호가 나타납
니다.
몸은 통증이나 이상 감각을 드러내며 공간 결박의
상태에서 깨어나려는 현실적 신호를 주게됩니다.
이때 사람을 속이거나 특수한 관념 속에 가두려는
사이비 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하고 경계하는 상태가
몸 신호입니다.
피해자의 무의식은 이미 속임을 깨닫고 현실로 깨어
나려고 몸의 통증이나 감각신호를 증폭합니다.
이때는 사이비 사람들은 일어난 감각을 자신들 만의
언어로 덮어 버립니다.
피해자의 깨어 나려는 몸 감각을 공포가 포함된 언어나
칭찬이 포함된 언어로 바꾸어 이야기 해줌으로 감각적
탈출로를 생각속에 가둡니다.
물 밑에 고기는 미끼를 행운으로 보고 낚시꾼은 보이지
않습니다.
만일 물고기의 공간이 확대 된다면 매우 우스꽝스러운
낚시꾼을 보게 될 것입니다.
공간수련은 인간에게 관계된 거의 모든 분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과학적인 수련입니다.
얼마전 미국의 세계적인 증권 투자가와 점심을 함께
하는데 십억이 넘는 점심 값을 지불한다는 외신 보도
가 있었습니다.
무엇을 먹으려 저 큰 돈을 점심 값으로 지불하는지...?
메뉴가 세상에 없는 재료가 아니라 그 사람의 공간을
공유하려는 댓가로 보입니다.
한 시간 남짓 공유된 공간속에서 충분한 투자 이익을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인기 있는 상품이라고 하는
데 분석의 방법은 아닌것 같습니다.
제가 모은 공간 수련에 관련된 자료를 나열하면 상당
히 많은 사례를 축적했습니다.
살다가 보면 될 일도 안되게 만든는 경우가 있을 것이고
불가한 일도 되도록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여전히 미스
테리한 영역입니다.
좀비는 타인에 의해서 공간이 지배된 사람인데 상상의
재료조차 지배된 상태라면 최악입니다.
도시는 자본의 효율과 이익의 극대화를 위해서 점점
공간을 옥죄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결핍된 영양이 보충되지 않으면 질병에 걸리 듯이
특히 도시인들에게 공간수련은 필수적 대안으로
보입니다.
우리가 매일 매일 반복되는 삶의 방식과 적응 상태를
보면 공간에 갇히는 것은 감옥에 갇히는 것보다 위태
한 결과를 만들수 있다는 염려가 있습니다.
'일상을 새롭게 > 의식을 새롭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와 즐거움 (0) | 2017.12.20 |
---|---|
시간을 낚는 도구 (0) | 2017.09.29 |
철학 결핍과 현대인의 불행감 (0) | 2017.06.23 |
도약의 조건 (0) | 2017.06.07 |
명상수련은 현실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을까? (0) | 2017.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