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을 새롭게 3 Renew Posewin 20170525
너는 왜 그만한 일에 화를 내는 거니...?
나도 몰라 내가 왜 화를 내는 것인지
그냥 화가 올라와...
이 말은 세계가 펼쳐지고 있는가?
아니며 드러나고 있는가에 관한 것 입니다.
세계를 이해하면서 펼쳐지는 관점과 드러나는
관점을 이해하는 것은 경험이라는 실체를 구분
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잠시 물리학의 눈을 빌리면 우주를 바라볼 때
공간이라는 우주에 별이란 실체가 있다는 관점을
입자물리학 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입자 따로 공간 따로라는 의미로 정신사용에
있어서 이분법의 기초입니다.
양자물리학적 우주관은 이 둘의 분리를 인정하지
않으며 공간이라는 우주속에 별이라는 현상이 나타나고
사라지고 있다는 관점입니다.
세계를 이해하는데 입자물리학적 이해는 밖에 것이
나에게 빛이 들어오 듯 관찰된 것입니다.
그러나 양자물리학적 이해는 안에 것이 밖으로 영향을
줄때 장이란 공간에서 별이 나타나고 사라진다는 세계
입니다.
예전에 강의를 들은 학생이 이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
하고서 우리 선생님은 달을 쳐다보지 않으면 머리 위에 떠
있는 멀쩡한 달이 없는것 이라고 했다고 합니다... ^^
불교의 관점에서 인간에게는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은
마음이 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사람은 자기 내부의 정신사용 프레임
이 이분법으로 극명하게 나누어 질수록 감정적 농도를
강하게 느낀다는 점입니다.
사랑이란 것도 미치도록 사랑하는 것은 이분법이 주는
선물 같은 것이지만 반대로 미치도록 미워하게 되는 것이
세계관의 영향입니다.
사물을 이해하는 필터가 세계관이고 필터 중에 가장 큰
필터가 경험을 바라보는 시선입니다.
고양이 눈앞에 생선 토막이 놓여있습니다.
여기에는 철저히 뿌리부터 세계관이 작동하는데
20세기를 지배한 포스트모더니즘 세계입니다.
고양이 앞에 펼쳐진 세계관은 포스트모더니즘적
세계관을 상징합니다.
고양이에게 생선은 우연히 만난 횡제입니다.
생선이 가지고 있는 이면에 어떤 의미를 파악할 수
없는 보이는 그대로 상태입니다.
우리들에게 드러난 경험이란 세계가 고양이 생선발견
이란 우연으로 받아들여진다면 눈앞에 보이는 경험외
에 기대할 것이 없을 것 입니다.
명상수련의 영향력은 인식의 방향을 개선하므로 세계를
개선하는 힘으로 드러나는 세계입니다.
너무 넓게 깨달음을 구하거나 너무 소박하게 스트레스
감소 효과가 명상수련의 전부라고 여기지 말아야 할 이유
가 이것입니다.
올바른 이론과 세련된 수련은 세계를 인식하는 방향을
변화시켜 줍니다.
우리들은 당장 눈앞에 돈벌이가 실제로 느껴지고 있지
세계관이 점령당했을때 파국을 예상하지 못하고 살아
갑니다.
누구나 크고 작게 현실의 불만족을 가지고 있습니다.
투자사기, 다단계 사기, 무속적 예언, 컬트적 사이비교
등은 개인의 세계관을 공략합니다.
조금 투자해서 많이 번다는 투자 사기와 점쟁이나 무속적
예언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성이 세계는 이미 결정되었다.
나는 그것을 보았고 미리 결론을 알고 피하는 법도 알고
있다라는 설정에서 출발합니다.
여기서 세계관이 개입되는데 마음속 인식의 방법이
양자론인가 결정론인가에 따라서 감정적 격랑속으로
철저히 휘말려 들어가 진실과 멀어집니다.
명상 수련을 단순히 뇌파나 보고 앉아 있는 것으로
한정하면 안될 것 입니다.
세계관은 인식의 문제이고 인식은 몸으로 일어나고
몸은 어떤 의도에 의해서 일어남의 방향을 정합니다.
포즈윈 명상은 세계관을 정비하고 인식을 개선하며
현실을 바람직 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건강한 수련
입니다.
원래의 것을 말로 전하면 10분의 1로 감소하고 다시
말을 글로 전달하면 10분의 1로 감소한다고 했는데
아쉬움이 큽니다.
봄은 건너뛰고 여름이 왔습니다.
늘 반복하게 될 이야기 입니다만 빙수한 그릇으로
체온이 1도 떨어지면 몸의 면역력은 40퍼센트까지
떨어진다고 합니다.
건강관리가 필요할 때 입니다.
'일상을 새롭게 > 의식을 새롭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 결핍과 현대인의 불행감 (0) | 2017.06.23 |
---|---|
도약의 조건 (0) | 2017.06.07 |
정보량과 침묵 (0) | 2017.05.19 |
명상수련과 내부자원의 연결효과 (0) | 2017.04.20 |
명상치유와 과정인식의 중요성 (0) | 2017.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