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을 새롭게 3 Renew Posewin 20170504
내일은 어린이날 입니다.
그래서 아이에게 칭찬이 심리적으로 어떤 반응을 부르게 되는지
살피려 합니다.
칭찬에 관한 오해는 고래도 칭찬을 받으면 좋아하므로 칭찬은 무
조건 좋을 것이란 추정입니다.
수년전 포즈윈 수련으로 방화벽을 치유한 아이가 있었습니다.
아이는 이상하게 아무데나 불을 지르는 습관이 있었고 정작 자신은
그것을 뚜렷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여러 곳으로 전문가를 찾아다니고 미술치료와 심리치료 상담 등을
받기도 했지만 전혀 개선의 기미조차 없었다고 합니다.
아이가 성장하여 사립학교에 진학하면서 방화벽은 학교에서 퇴교
조치가 고려될 위기가 찾아옵니다.
절친한 지인의 긴급한 S.O.S로 포즈윈 수련을 지도하기로 하고
과정 스토리를 탐색하였습니다.
밝혀진 사실은 관심과 칭찬의 문제로 모아졌습니다.
동생이 태어나기 전까지 모든 관심과 칭찬을 독차지 했었는데
어느 날 여자동생이 태어납니다.
이후부터 아빠와 엄마의 관심은 여자동생에게 모아졌고 소외
감으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우연히 엄마 아빠가 동생에게 정신이 팔려 있을 때 거실에서
불을 지르게 되는데 이때 일시에 동생을 향했던 엄마 아빠의
관심은 자신에게 모아졌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어이쿠...! 어디 다친 거 아니지 괜찮지...!
주방에서 놀란 동생인 울었지만 아무도 동생에 관심을 두기보다
자신에게 모든 관심과 사랑을 주었다는 기억이 무의식으로 침습
하게 됩니다.
이후로 동생을 향한 엄마 아빠의 관심을 자신에게 모으는 방법이
불이란 학습을 하게 되지만 시간이 흘러 나이가 들면서 실내 방화
는 큰 꾸지람으로 마무리 됩니다.
사물에 관한 판단이 흐린 시절 불을 지를때 아이에게 얼마나 칭찬
과 관심을 주었는지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다행이 아이는 포즈윈 공간수련으로 방화벽은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물개와 고래를 조련할 때 칭찬을 사용하는데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
반사라고 합니다.
인간은 고래가 아니기 때문에 고전적 조건반사형 칭찬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칭찬에도 지혜가 필요하다는 취지로 앞의 사례를 설명
드렸습니다.
아동심리학자들은 2가지 형식의 칭찬을 두고 관찰을 해보았는데
성취한 아이에게 칭찬의 이유를 지능과 노력으로 나누어 적용해
볼때 아이에게 미래에 미치게 될 영향력 입니다.
결과를 보면 부모의 잣대로 너는 지능이 높다고 칭찬을 받은 아이
는 실패를 두려워하는 아이가 됩니다.
이것은 완벽성에 관한 집착과 결과를 추구하는 정신사용을 의미
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노력을 칭찬받은 아이는 실패로부터 새로운 교훈을 얻
는 아이가 된다고 합니다.
결과보다 과정을 중요시하는 정신사용은 위기와 고난에 처했을때
융통성과 도전으로 위기를 벗어나는 정신적 자원이 됩니다.
조련사의 칭찬은 노력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단순한 결과를 따른것
에 대한 선물이고 지혜를 갖춘 인간의 칭찬은 과정의 실패를 포함한
노력에 칭찬을 주어야 하는 사례입니다.
'일상을 새롭게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이 패턴화 될때 위기 (0) | 2017.05.11 |
---|---|
물동이와 스마트폰 (0) | 2017.05.08 |
좋아해와 사랑해의 차이 (0) | 2017.05.01 |
현존성과 미래창조 (0) | 2017.04.25 |
포즈윈 수련과 나르시즘의 경계 (0) | 2017.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