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을 새롭게 3 Renew Posewin 20170829
스스로 눈을 가린다면 한 생각도 일어나지
않을까...?
止 ... 한 생각도 일어나지 않으면 전체가
드러날 것이다.
어떻게 사람이 한 생각도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단 말일까...?
이 말은 집중 사마타 상태를 경험한 사람은
무엇을 말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집중이란 형식을 말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것이
목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집중하려 할수록 마음 깊은 곳에서 스믈스믈 올
라오는 결과에 대한 불만족과 비판은 괴롭습니다.
집중을 목적으로 하면 자기 나름의 집중력을 만들
게 됩니다.
아~ 이것이 집중이었어...
오늘은 아주 만족스러운 걸...
도대체 집중이 되지 않는군...
빌어먹을 내가 왜 이짓을 하고있지...
우리는 식당에서 밥을 먹을 때와 집에서
밥을 먹을때 인식이 다릅니다.
그냥 밋밋하게 밥을 먹는다...
집에서 밥을 먹는 것입니다.
뭐야 이거 왜이리 맛이 없어... 돈이 아깝군
식당에서 밥을 먹을때 입니다.
엄청 맛있군... 또 와야 겠는데...
이것도 식당에서 밥을 먹을때 입니다.
경험으로 집중수련은 집밥을 먹을때와
같이 밋밋할때 그 본질에 접근할 수 있었
습니다.
이것은 집중이다라고 메뉴를 정하고 맛을
상상하고 접근하는 집중은 자기만의 집중
을 만들게 됩니다.
이런 집중의 개념이라면 집중해서 뭐하겠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우스게 말로 내가 이럴려고 집중했나...
우리가 무엇을 배울때는 직접 관련이 있는
것을 주어야 합니다.
지금 배우는 집중이란 알아두면 좋다는 식...
용도를 모르면 옥쇄로 호두를 까먹습니다.
경험이란 좋은것 나쁜것으로 분명히 나누어
지지 않지만 극단화된 마음이 그것을 만들고
있지만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차가 달려오는데 어떤 사람은 그것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피하지만 어떤 사람은 병원에서 자기
가 교통사고 났음을 알기도 합니다.
가던 길을 계속 가야하는가...?
가던 길을 멈추어야 하는가...?
이것은 집중력이며 무의식 입니다.
눈이 빠져라 초를 바라보는 것이 집중의 전부가
아니란 점 입니다.
명품지갑이 없으면 종이로 만든 것을 사용하면
그뿐입니다.
그러나 집중에 대한 이해와 실천은 산소와 같이
없어서는 안되지만 집중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충분한 이해가 부족했습니다.
집중의 개발은 생존에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잊
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일상을 새롭게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집중수련 (0) | 2017.09.04 |
---|---|
변화에 관하여 (0) | 2017.09.01 |
아는 만큼 보인다 (0) | 2017.08.25 |
행복과 불행의 전염거리 7미터 (0) | 2017.08.23 |
똑똑한 몸과 심장마비 (0) | 2017.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