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을 새롭게 3 Renew Posewin 20170619
경험 많은 인디언은 숲에서 길을 잃어버리면 처음으로 자기가
있는 자리를 철저히 표시해 둔다고 합니다.
길을 잃었을때 자기 집을 찾을 확률이 가장 높은 행동은 처음
행동에 의해서 좌우되고 있습니다.
자기 인식력은 복잡한 관계 속에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가장 필
요한 덕목입니다.
스스로 인식한다는 뜻은 에고이즘과 거리가 있으며 사회적 지위
재산, 권력등 나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외피들을 많이 내려
놓을수록 자기 인식력은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인간은 자기 삶에 적응하는 과정 속에 자기 인식력과 멀어지는
요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변화를 발견하지 못하거나 자기를 잃어 버려서 발생하는
어려운 일들은 단순성에 근거한 문제로 보입니다.
단순해진다는 뜻은 삶이 단순해지는 것과 그 형식이 단순해지는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리들의 단순함에 관한 오해는 삶의 형식을 단순하게 만드는 것을
단순함으로 알고 그것을 추구하면서 시작 되었습니다.
삶의 형식을 단순화 하는 것을 반복하면 지독한 매너리즘과 만나게
될 것입니다.
자기 인식력을 증대함으로 삶이 단순해 지는 것을 느끼고 그러한
삶에 도움이 되는 부분은 집중시키고 도움이 되지 않는 부분을
빼 버리는 간소함의 실천이 중요합니다.
쇼핑 앱을 사용하여 장보기를 간소화 하거나 부동산 앱을 사용하여
집을 구하는 것을 간소화하는 것은 우리가 발견한 간소함의 원리와
상관이 없는 부분입니다.
편리란 이름으로 지나치게 과정을 삭제해 버리는 행동과 간소함의
본 뜻을 구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하루중 20분 호흡알아차림 수련을 할 때 그 시간은 호흡 외에 무엇을
해야하 만하는 시간일 것입니다.
친구를 만나면서 관계를 넓히고, 일을 하면서 돈을 버는 것을 내려 두고
매우 단순함을 필요로 하는 호흡수련을 위한 노력은 간소화에 해당되며
반복된 간소화 수련은 지금 나의 처한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만들어
주게 됩니다.
'행복의 일곱날개 > 간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요에 관하여 (0) | 2019.07.12 |
---|---|
되비춤의 거울 (0) | 2019.01.25 |
밖을 넘어선 새로움 (0) | 2017.04.17 |